2022.07.26프로젝트[Day10] 리스트1️⃣ 변수를 모아서 리스트 리스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묶어 하나의 변수에 저장한 것이다. value = [10, 9, 8, 9, 9] 형식으로 표현한다. '리스트 이름[인덱스]'로 리스트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. 하나의 리스트 안에 여러 가지 자료형 데이터를 저00
2022.07.20프로젝트[Day9] 문자열 파헤치기1️⃣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문자열의 글자에 번호를 지정하고 가리키는 것을 문자열 인덱싱이라고 한다. 문자열 인덱싱을 할 때는 대괄호로 원하는 위치를 지정한다. hi[2]라고 하면 변수 hi에 담긴 문자열의 인덱스 2번, 즉 세 번째 문자를 가리킨다. 뒤에서부터 음00
2022.07.19프로젝트[Day8] 함수1️⃣ 함수 반복되는 코드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덩어리를 함수로 만든다. 함수의 형태는 def 함수명(매개변수): 이다. 함수명(전달인자)로 호출한다. 호출해야 함수가 실행된다. 2️⃣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 매개변수와 전달인자의 개수는 같아야 한다. 매개변수 00
2022.07.14프로젝트[Day7] 반복문1️⃣ 반복문이 필요할 때 반복문을 사용하면 같은 코드를 여러 번 적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.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반복문에는 for 문과 while 문이 있다. 2️⃣ for 반복문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시킬 때 사용하는 반복문이다. 반복문도 콜론(:) 이후의 00
2022.07.13프로젝트[Day6] 1-6. 합격과 불합격 통보하기1️⃣ 조건문이 필요할 때 조건식1이 참이라면 실행문1이 실행되고, 거짓이라면 실행문2가 실행된다. 조건식1이 거짓일 때는 실행문1은 실행되지 않고 else 다음 실행문2만 실행된다. 2️⃣ 비교 연산자 주요 비교 연산자에는 >, <, >=, <=, ==, !=가 있00
2022.07.13프로젝트[Day5] 입력과 자료형 변환1️⃣ 입력(input) 프로그래밍은 입력(input)을 받아 출력(output)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다. input()을 사용해 변수에 값을 입력한 후 출력할 수 있다. 2️⃣ 숫자형 입력 input()으로 입력한 모든 값이 문자열로 저장된다. 3️⃣ 자료형 변환00
2022.07.12프로젝트[Day4] 1-4. 어떻게 돈을 내야 할까?1️⃣ 연산자의 종류 컴퓨터는 '계산하다(compute)'와 '~하는 사람(er)'에서 유래됐다. 연산자는 산술 연산자, 대입 연산자, 관계 연산자, 논리 연산자로 구분한다. 2️⃣ 기본 사칙연산 print 문 안에서 숫자와 연산자를 사용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. 00
2022.07.07프로젝트[Day3] 1-3. 자료형 마스터1️⃣ 변수 변수는 가변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다. 프로그래밍에서의 =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(대입)하는 것이다. 변수에 새로운 데이터를 넣으면 데이터가 덮어씌워진다. 2️⃣ 자료형 파이썬의 자료형에는 문자열, 숫자(정수, 실수), 리스트, 튜플, 딕00
2022.07.06프로젝트[Day2] 1-2. 출력 프로그램 만들기1️⃣ 문자열 출력 한 글자 이상의 단어나 문자를 문자열이라 부른다. 파이썬에서는 print()라는 코드가 출력을 담당한다. 따옴표로 감싼 글자만 문자열로 인식하기에 큰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로 감싼다. (같은 짝) print 코드는 줄을 바꿔 입력했을 때 자동으로 개행되00
2022.07.06프로젝트[Day1] 1-1. 파이썬과 Visual Studio Code 설치하기🔷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이다. 파이썬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다. 파일 확장자를 .py로 저장하면 파이썬 파일로 인식된다. 파이썬은 귀도 반 로섬이라는 사람이 제작했다 파이썬의 로고는 뱀을 형상화한 것이다.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문법이 쉽다 인0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