탐색
가이드
@ekgns119
전체 보기
프로젝트
포스트
팔로잉
스크랩
전체 보기
프로젝트
포스트
팔로잉
스크랩
프로젝트 히스토리
프로젝트 상세 페이지
타임라인
리스트
2022.03.07
@ekgns119님이 새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.
오늘의 문제 풀이
1. 입력) print(type(5)) print(type(2.5)) print(type(2<4)) print(type("돼지갈비찜")) 출력) 2. 입력) a = "제 이름은 윤다훈입니다." print(a[6:9]) 출력)
2022.03.07
@ekgns119님이 포스트를 업데이트했습니다.
포스트
나야 동생아! 자료형!
2022.03.07
@ekgns119님이 새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.
나야 동생아! 자료형!
*자료형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래밍의 길에 있어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. => 프로그래밍은 결국 데이터를 다루는 행위이기 때문. *파이썬은 다른 언어에서 사용되는 기본 자료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, 사전 자료형이나 집합 자료형 등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자료형도 기본으로 내장하고 있다. *파이썬의 자료형에는 문자열, 숫자형, 불,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집합이 있다. *수 자료형에는 정수형(integer)과 실수형(Real Number)이 있다. 1) 정수형(int) =>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이며 양의 정수, 0, 음의 정수가 있다. 소수점이 없고 사람의 수를 세거나 카드 개수를 세는 등의 계산에 사용한다. 2) 실수형(float) =>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 자료형. 소수부가 0이거나 정수부가 0인 소수는 0을 생략하고 작성할 수 있다. *type(___)함수로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. *파이썬의 불(bool) 자료형에는 참(True)와 거짓(False)이 있다. *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 상의 공간을 의미한다. *변수 = 데이터 => 변수는 등호를 이용해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한다. 데이터는 덮어쓸 수 있다. *문자열 인덱싱은 0부터 시작한다. 음수 인덱싱은 뒤에서부터 -1로 시작 => 인덱스값을 입력하여 리스트의 특정한 원소에 접근하는 것을 인덱싱(indexing)이라고 한다. *문자열 인덱스로 문자열을 자르는 것을 슬라이싱이라고 한다.
2022.03.06
@ekgns119님이 포스트를 업데이트했습니다.
포스트
돼지갈비찜 3줄 느낀점
2022.03.06
@ekgns119님이 새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.
돼지갈비찜 3줄 느낀점
print(""" 돼지갈비찜을 너무 많이 만들고 나서 느낀점은 돼지 한마리를 먹느니 소고기를 먹는게 낫다는 점일까 """)
2022.03.06
@ekgns119님이 새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.
print() 출력과 문자열
문자열은 무조건 쌍따옴표("), 혹은 작은따옴표(')로 감싸줘야한다. => 짝을 맞춰줘야함 ex) '돼지갈비찜' (o) "돼지갈비찜' (x) "돼지갈비찜" (o) *print()함수는 출력함수. ex) print("돼지갈비찜") =>돼지갈비찜 *줄바꿈 안하려면 end=""를 붙인다. =>end 키워드는 자동으로\n이 추가되는 것을 막고 내가 입력한 문자열을 끝에 사용하는 것.